배 부른 이야기

이미지
예전에 한국의 어느 대학 총장의 어린 시절 이야기를 들은 적이 있다. 그 분은 육이오 전쟁 이후 가정 형편이 너무 어려워서 어쩔 수 없이 구두통을 메고 하루 벌이를 하여야 했던 시절이 있었다고 한다. 그러다 어떻게 운(?)이 좋아서 선교사의 눈에 들게 되었고, 그런 인연으로 인하여 하나님을 알게 되고, 결국 공부도 하게 되고, 나중에는 유학까지도 가게 되었다는 것이다. 그 선교사님을 만나게 된 것이 바로 하나님의 보살피심이었고, 그 만남을 시작으로 자신의 인생에 변화가 시작되었다는 이야기하면서 만남이라는 것이 하나님의 큰 축복임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하신 글을 감동 깊게 읽은 적이 있었다. 무숙자 사역관에도 가끔 구두통을 메고 밥벌이가 잘 되지 않아서 찾아 오는 아이들이 있다. 끼니는 때어야 할 것이기에 돈 없이도 먹을 수 있는 우리 무숙자 선교관을 찾아 발걸음을 옮기는 것이 당연하다. 그들에게 섞여서 기다리고 있는 아이들도 적지 않다. 매일 30명 이상의 아이들이 배고픔을 달려면서 줄을 서 있는 모습이 안타까울 뿐이다. 그 아이들을 보면서 언제부터인지 그들의 배고픈 배를 채우는 것보다 더 중요한 것을 생각하게 되었다. 그러면서 걱정이 앞섰다. 어쩌면 두려움이라는 것이 더 솔직한 심정이다. 저 아이들을 돌보지 않고 그대로 방치한다면 언젠가는 이 길바닥에서 본드 병을 입에 물고 나타날 것이 불보듯 하기 때문이다. 그 때에 누구를 탓할 것인가? 이 비러먹을 사회 구조를 탓할 것인가? 아니면 무책임한 부모들을 탓할 것인가? 아니면 나에게도 책임이 있는 것인가? 이곳에 세워진 선교관을 통해서 마약 중독자, 술 중독자, 무숙자, 창녀들에게 한끼의 식사를 나누며 그들의 기본적인 필요를 채우는 것도 중요하다. 하지만, 이곳에 드나드는 아이들이 그들과 같이 되는 것을 미리 방지하는 것 또한 중요한 사역이고 나의 책임이라는 생각이 들었던 것이다. 그래서 구상하기 시작한 것이 이곳의 아이들을 위한 아동 사역이다. 이 아이들을 부모와 같은 심정으로 돌보아 주자는 생각뿐이다. 말씀처...

단기 선교를 마치고 - 마커스 리웅

Back at home. Comfortable. Running water, electricity, no longer a need for heavy bug spray and sunscreen. Comfortable. Tomorrow I will not need to wake up to a day of body breaking labor under 90 degree sun rays and 95 percent humidity. No drenching sweat. My jeans do not stick to me like a wet napkin. No cement in my hair, blisters on the palms of my hand, and dirt blackening my body. When I am thirsty, I will drink, and when I am hungry, I will eat. I have the leisure to turn on my TV or browse the internet when I am bored. I watch sports, food networks and sitcoms. Just days ago, I was watching the rain soak a newly cemented wall in a homeless clinic and dirt loosened, to floor a church, turn into mud. Just yesterday I was watching a dear friend wash the feet of a drug addict. My team and I spent our first days in Managua, Nicaragua. Later in the week we went to Chinandega, and returned to Managua for our final days. I could sit here and try to find thesaurus-insp...

하나님을 체험하는 삶

이미지
“믿음이 없이는 기쁘시게 못하나니 하나님께 나아가는 자는 반드시 그가 계신 것과 또한 그가 자기를 찾는 자들에게 상주시는 이심을 믿어야 할지니라” (히브리서 11:6) 한달 전 쯤해서는 지역의 의료 선교사 노어 설커 (Dr. Nour Sirker)라는 분에게서 전화를 받았다. 급하게 울리는 전화를 받으면서 오랫만에 전화 하셨다고 생각했다. 닥터 노어는 미국에서 의료 훈련을 받은 후 니카라과가 민주주의로 돌아서던 1990 초에 복음의 열정으로 불태우며 이곳에 들어 오신 분이다. 벌써 60세를 바라보는 닥터 노어와 이야기를 나누다 보면 내가 그 열정이 전염 되는 듯하다. 그 분의 삶과 마음뿐 아니라 서두르는 듯한 그의 말투에서도 느낄 수 있다. 그래서 그런지 그 분과의 대화는 늘 나 자신을 돌아 보게 한다. 나에게도 그러한 열정을 가지고 15년이 지나도 한결같이 주님을 섬길 수 있기를 바란다. 그 분은 말도 길게 하지 않는다. 그는 말을 아끼신다. 할 말만 하면 끝이다. 상대방이 그의 침묵에 거북스러워해도 그만이다. 그 날도 짧게 우리의 대화가 끝났다. ‘무숙자 사역은 어떠냐?’ ‘좋다’ ‘아직도 의료 사역에 관심이 있냐?’ ‘그렇다’ ‘그러면 나에게 의료 테이블이 하나가 여유로 있는데 원하느냐?’ ‘그렇다’ ‘그럼 트럭을 준비해서 와라’ 그렇게 해서 닥터 노어의 의료 선교관으로부터 진료의자를 하나 얻었다. 의료 선교관이라기 보다는 수술실도 5개나 준비되어 있는 훌륭한 병원이다. 고맙다고 전화를 했더니 원하면 치과 진료 의자와 장비도 준비되어 있다고 부언해 주신다. 그리고는 주일이었다. 예배를 마치고 커피를 마시고 싶어서 커피집에 들렀다. 커피집 소파에 앉아 있는 어떤 노인네와 집사람이 대화를 나눈다. 처음 뵙는 분인데 대화의 길이가 짧지 않다. 나중에 알고 보니, 미국의 존스 홉킨스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수도 워싱톤 디씨에서 성공적으로 의사 생활을 하시다 은퇴하신 이비인후과 의사시다. 닥터 코옌은 벌써부터 니카라과의 무료 진료소에서 봉사를 해 오셨다. 우리가 관심...

단기 선교팀을 맞이하며

이미지
시편 20:5 “ 우리 가 너의 승리로 말미암아 개가 를 부르며 우리 하나님의 이름으로 우리의 깃발을 세우리니 여호와께서 네 모든 기도를 이 루어 주시기 를 원하노라 ” ( 단기 선교팀의 청소년들이 기도로 사역을 감당하는 모습 ) 7 월과 8 월은 이곳의 선교사님들에게 바쁜 기간으로 알려져 있다 . 미국에서 방학기간이고 휴가철이다 보니까 단기 선교팀들이 많이 들리기 때문이다 . 선교팀이 들어온다고 결정이 되면 선교사님들은 은혜로운 단기 선교를 위한 사전의 준비로 도착하기 전부터 바쁘다 . 그리고 도착한 후에는 선교팀을 돌보는 일에 신경을 써야 하기 때문에 무척이나 바쁜 시간을 지내게 된다 . 미국에서 목회 할 때에는 선교사의 입장에서 단기선교를 볼 수 없었다 . 그렇기에 선교사에게 주어지는 단기 선교의 유익에 대해서 알 길이 없었다 . 오히려 유익이 아니라 해나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해 본적도 있다 . 그와 함께 그렇게 많은 재정을 드릴만한 가치가 있는가 하는 질문도 던져 보았다 . 물론 단기선교를 다녀온 교회와 성도가 은혜를 받으니 교회 입장에서는 불평할 것이 없다 . 올해 들어서 몇몇 교회에서 관심을 가지고 나의 사역을 방문해 주기 시작했다 . 여름 동안 세 교회의 단기 선교팀이 방문하여 선교 사역을 도왔다 . 노스 케롤라이나의 그린스보로 한인 제일 장로 교회 , 엘 에이의 새 생명 오아시스 교회 , 뉴욕의 알바니 연합 감리 교회에서 찾아 주셨다 . 선교팀들과 함께 지낸 후에 생각을 정리해 보면서 몇 가지를 적어 본다 . 사실 피곤하다 . 모든 신경을 집중하여서 선교팀을 돌봐야 한다는...

유엔의 '밀레니움 개발 목표' 중간 발표를 읽은 후

이미지
( 유엔에서 역사상 처음으로 만장일치되어 통과된 사안이 하나 있다. 2000년 새로운 밀레니움을 맞이하면서 체택한 MDG (Millennium Development Goals) 라는 사안이다. ‘밀레니움 개발 목표’라고 일반적으로 불리운다.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유엔에서 2000년, 새 밀레니움을 시작하면서 2015년까지 이루고자 하는 유엔의 공동 목표를 정해서 선포한 것이다. 8개의 목표를 정했다. 그 중에는 교육, 에이즈 퇴치, 여성의 권위 상승, 유아 사망율 감소, 환경 오염 등과 같은 목표들이 들어 있다. 그런데 그 중의 첫째가 빈곤 퇴치 (eradicate extreme poverty and hunger)이다. 배고픔은 인간으로 견디기 어려운 가장 큰 어려움 중에 하나이다. 그리고 인간의 기본적인 존엄성을 박탈하여 비굴하게 만든다. 그렇기에 예수님의 40일의 금식 기간 후에 마귀가 나타나서는 바로 이 배고픔의 고통을 해결하라고 시험 한다. 광야의 사십년 동안에 이스라엘은 배고픔으로 인하여 하나님을 원망한다. 그 때에 하나님께서는 만나를 보내시어 그들의 고통을 해결해 주셨다. 하나님도 배고픔의 고통을 인정해 주신 것이다. 이사야서에서는 종교적인 행위 중의 하나인 금식에 관하여 새로운 정의를 내리면서 배고픔의 고통 가운데에 처해있는 자들을 돌보는 것이 진정한 금식이라고 말씀을 하셨다. 광야에서 예수님의 말씀을 듣던 자들의 배고픔을 긍휼히 여기시어 오병 이어의 기적을 허락하셨다. 그리고 육적인 배고픔은 영적인 공허함으로 쉽게 연결되어진다. 장기간 배고픈 자들이 하나님의 사랑을 인정하는 것은 쉽지 않다. 배고픈 자들은 하나님이 공평하다고 말하지 않는다. 그러면서 불공평의 하나님은 믿지 않겠다고 거부하기까지 한다. 그래서 복음은 빵과 함께 주어져야 하는 것이고, 일반적으로 선교는 빵이라는 매개체를 통해서 이루어졌다. 물론 선교에서 ‘복음은 손님, 빵이 주인’이 되는 것이 문제이지만 말이다. 성경적인 관점에서 볼 때 배고픈 자들을 돌보는 것은 하나님의 마음을 가...

순종은 믿음의 행위

이미지
히브리서 12:1-2 "...인내로써 우리 앞에 당한 경주를 경주하며 믿음의 주요 온전케 하시는 이인 예수를 바라보자" 5월 8일, 오늘은 학교의 분위기가 아침부터 들떠 있다. 오전 9시 전에 중고등학교 아이들이 모두 모였다. 학교의 체육복을 입고 친한 아이들 끼리 모여서 속닥이고 있다. 중고등학교는 일반적으로 오후반이지만 오늘은 아침에 모였다. 오늘이 바로 마사야 화산을 견학하기 위해서 일일 학습 여행하는 날이다. 우리 학교에 다니는 아이들 중에서 이곳을 가 본 아이들이 하나도 없다. 그도 그럴 것이 서민 가정으로서는 마사야 화산를 구경 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버스를 타고 시외로 한시간, 그리고 산의 정상까지 오르려면 빠른 걸음으로 걸으면3 시간, 그렇지 않으면 족히 4시간 이상 걸리는 거리이기 때문에 일반적으로는 엄두도 내지 못한다. 선생님들 중에도 한번도 가보지 못하신 분들이 다수다. 그들에게도 큰 관광 거리가 된 것이다. 대절한 버스가 도착했다. 아이들이 웅성거리기 시작한다. 아이들을 모아 놓고 함께 기도를 했다. ‘사고 없이 잘 다녀 오게 하시고, 자연을 통해서 하나님의 위대함을 깨닫게 해 주소서…” 버스에 앞에 서서는 승차하는 아이들 하나 하나를 기도하며 머리에 손 얹어 축복해 주었다. ‘이들이 잘 교육 받아서 좋은 하늘 나라의 일꾼, 니카라과의 지도자들 되게 해 주세요.’ 버스를 보내면서 흐믓함으로 가득 채워지는 기쁨을 느꼈다. ‘하나님이 기뻐하신는 일을 행하며 살 때, 이웃과 나누면서 살 때 큰 기쁨과 보람이 주어진다’라는 이 삶의 진리을 잘 알면서 실행하지 못하는 경우가 얼마나 많은가? 조금 더 벌기 위해서, 조금 더 같기 위해서, 조금 더 좋은 것을 소유하기 위해서 말이다. 미국에서의 삶을 생각해 보았다. 그곳은 너무 풍성한 곳이다. 편하고 환경도 너무 좋은 곳이다. 흔히 듣는 이야기, ‘미국같은 곳 없다’는 말이 분명히 맞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잃은 것도 많은 삶이다라는 생각을 했다. 학교에서는 아이들을 견학 보내면서...

미리 예비하신 위로

지난 주에도 놀라운 기도의 응답을 새롭게 체험했다 . 우리들과 함께 하시는 주님의 동행하심 , 그리고 섬세함으로 돌보시는 놀라운 사랑을 어떻게 말로 다 표현할 수 있을까 ? 특별히 요즘과 같이 사역의 생각지 않았던 문제들로 인하여 마음에 답답함과 어려움을 느끼고 있는 기간이기에 그 은혜는 더 하다 . 또한 따갑도록 쏘아대는 열대의 햇빛로 인하여 지친 육식의 피곤함이 축척되고 있던 기간이었기에 그 은혜가 배가된다 . 이런 놀라운 타이밍을 생각할 때 , ‘ 성령 하나님께서 곁에서 지켜 보고 계시구 있었구나 …’ 하는 생각을 갖게 한다 . ‘ 이런 하나님의 은혜 덕분에 어려운 일을 당해도 마음에 위로를 받으며 감당해 가는구나 ’ 하는 생각을 했다 . 늘 위로하시고 힘 주시는 하나님 , 우리의 반석되신 하나님을 찬양한다 . 기도에 응답하시는 신실하신 하나님이시다 . 다름이 아닌 중 고등학교를 시작하면서 올해 1 월부터 하나님께 기도를 드렸다 . 처음 시작하는 중 고등학교이지만 50 명의 신입생을 보내 달라는 기도였다 . 2 월 초 , 학교가 시작되었을 때 등록한 학생 수는 47 명 . 50 명에서 3 명이 부족하다 . 그래서 학교가 시작한 뒤에도 기도를 계속했다 . ‘ 나머지 3 명을 채워 주십시오 . 50 명입니다 .’ 한 달 정도 기도를 했을까 , 생각이 조금씩 변했다 . ‘47 명이면 되었지 , 50 명이나 마찬가지야 …’ 하면서 기도를 느슨하게 했다 . 그러던 중 , 이번 주 월요일에 학교에 갔을 때에 중고등학교 교장직을 맡고 있는 세사르 선생님이 말한다 . ‘ 목사님 , 지난 주말에 학생 몇 명이 더 등록을 했습니다 .’ 나는 당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