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2008의 게시물 표시

협착한 길을 걷는 이들

이미지
“좁은 문으로 들어가라. 멸망으로 인도하는 문은 크고 그 길이 넓어 그리로 들어가는 자가 많고 생명으로 인도하는 문은 좁고 그 길이 협착하여 찾는 이가 적음이니라” (마 7:13-14) <-- 인형을 들고 기뻐하는 아브라함의 모습 예수님은 일부러 좁은 길을 걸으신 분이다. 그리고 우리들에게도 좁은 문을 찾아 가라고 말씀하신다. 미국에서 주님의 말씀대로 그런 삶을 산 사람이 있다.헨리 나우웬 박사다. 전에 목회했던 코네티컷의 뉴 헤이븐에 위치한 명문 예일 대학의 신학 대학원에서 교수 생활을 하셨다. 그리고 하버드 대학으로 옮기셔서 강의했던 유명한 영성 학자셨다. 그러던 그가 교수직을 사퇴하고 카나다에 있는 정신장애 교육 시설인 데이브레이크 공동체의 봉사원으로 자원하셨다 . 그리고 정신박약아 장애자들을 돌보며 살았다. 이 소식이 알려지자 미국 기독교계가 흔들릴 정도로 신선한 충격을 받았다. 기자들이 찾아가서 동기가 무엇이냐고 묻자 그는 이렇게 대답한다.“예수님을 진정으로 이해하려면 그 분이 걸으셨던 길을 걸어 보아야 합니다. 좁은 문, 험한 길을 걸어 보아야 합니다. 머리로만 성경을 이해하였는데 장애인들을 도우면서 몸으로 예수님을 이해해 보겠습니다” 좁은 문을 찾아 나서는 자들 중에 성경에서는 모세, 에스더, 그리고 바울이 대표적인 인물이다. 이들의 공통점은 넓고 편한 곳에서 좁고 험한 곳으로 자원해서 찾아 나선 사람들이다. 반면에 , 세상에는 선택의 여지가 없어서 좁고 험한 곳에서 있는 사람들이 많다. 니카라과에 와서 그런 사람들을 많이 만나고 산다. 니카라과의 80프로 이상으로 선택이 아닌 운명적으로 좁고 험한 길을 걷는 사람들이다. 유엔의 통계로 볼 때 빈민 생활자에 속한다. 오늘 만난 아홉 살 된 소년은 그 중에 대표적이고 하겠다. 미국 북 버지니아 지역에서 찾아온 워싱톤 한인 교회의 선교팀은 함께 의료사역과 어린이 사역을 중심으로 일 주일을 함께 보냈다. 니카라과에서 가장 더운 지역이라고 하는 치난데가의 현지인 교회와 함께 사역을 했고